JSON Formatter & Validator
Format and validate JSON data so that it can easily be read by human beings.
jsonformatter.curiousconcept.com
대부분 서버와 통신 시 JSON 데이터를 주고받게 되는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로그로 json 데이터를 보면 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때 해당 사이트를 이용해 json 데이터를 파악하기 쉽다.

사이트 중앙에 InputText 영역에 JSON 데이터를 입력하고 하단 "Process" 버튼만 클릭하면 된다.

버튼을 클릭하면 하단에 결과가 출력된다. VALID / INVALID 데이터를 구분해주며, Array와 Object를 보기 좋게 행으로 구분해준다.
Hex to base64 converter
Hexadecimal -> base64 string decoder
tomeko.net
말그대로 Hex ( 안드로이드의 SHA1 지문 ) 을 base64 키값으로 변경해주는 사이트이다.
스토어에 업로드가 되면, 로그인같은 외부 라이브러리에 스토어용 키값을 등록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스토어 콘솔 > 앱 무결성 > 앱 서명 으로 들어가면 앱 서명 키 인증서와 앱 업로드 키 인증서를 확인할 수 있는데, 해당 키들을 변환하여 base64 키를 등록해야 하는 라이브러리에 추가해주면 된다.

Hex string 부분에 SHA 키를 넣고 Convert 버튼을 누르면 된다.
App Icon Generator
appicon.co
아이콘 이미지파일을 추가하고 Generate 버튼을 클릭하면 iOS용, Android 용 필요한 앱 아이콘 이미지 파일들을 생성해준다. 또한 playstore 용 아이콘 이미지도 제공하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 중이다.
'개발 > 개발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와 GraphQL의 차이점 알아보기 (2) | 2024.11.21 |
---|---|
애플 실리콘(ARM) M2 맥북 homebrew 및 ruby x86_64 버전 재설치 삽질 기록 (react native pod install 오류) (1) | 2024.11.14 |
[안드로이드/플레이스토어] QUERY_ALL_PACKAGES 권한 선언을 제출하세요 (0) | 2022.06.14 |
[플레이 스토어] 관리형 게시 사용하기 (0) | 2022.06.02 |
[Github/안드로이드] 자주 사용하는 깃허브 기능 정리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