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 스토어 콘솔에 들어가 보면 '게시 개요'라는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메뉴를 통해 앱 업데이트 시기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형 게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 앱 게시 상태가 '출시 안됨'이면 사용할 수 없다.
- 프로덕션/테스트 상관없이 트랙이 1개 이상 존재해야 한다.
이다.
처음 앱 배포를 하게 되면 트랙이 존재하지 않아 바로 관리형 게시를 사용할 수 없다.
앱을 공개 테스트나 프로덕션에 올리게 되면 스토어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곤란한 상황이 온다.
하지만 비공개 테스트나 내부 테스트에 게시해도 관리형 게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관리형 게시를 켠 후 트랙을 생성, 배포하게 되면 바로 적용되지 않고 '검토 중'으로 상태가 변한다.
애플 스토어만큼 세세한 검토는 이루어지지는 않지만 기본적인 동작은 검수한 후 결과에 따라 출시 준비나 보류 상태가 된다.
관리형 게시를 통해 배포 실수를 막을 수 있다.
출시 가능한 버전을 선택해 App Bundle 메뉴를 통해 먼저 설치해보고, 수정된 부분이 정상 작동하는지 스토어에 게시되기 전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시 준비 상태에서 새로운 트랙을 제출해도 준비 버전은 배포되지 않기 때문에 재수정하여 업로드도 가능하다.
플레이 스토어 배포 시 활성화하면 좋은 기능인 것 같다.
공식 문서
https://support.google.com/googleplay/android-developer/answer/9859654?hl=ko
관리형 게시를 사용하여 앱 변경사항이 게시되는 시기 관리 - Play Console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
'개발 > 개발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와 GraphQL의 차이점 알아보기 (2) | 2024.11.21 |
---|---|
애플 실리콘(ARM) M2 맥북 homebrew 및 ruby x86_64 버전 재설치 삽질 기록 (react native pod install 오류) (1) | 2024.11.14 |
[안드로이드/플레이스토어] QUERY_ALL_PACKAGES 권한 선언을 제출하세요 (0) | 2022.06.14 |
[안드로이드] 개발할 때 자주 이용하는 사이트 정리 (0) | 2022.05.26 |
[Github/안드로이드] 자주 사용하는 깃허브 기능 정리 (0) | 2022.05.26 |